맨위로가기

제 민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 민왕은 기원전 300년에 제나라의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팽창 정책을 통해 주변국들을 공격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이로 인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사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몰락했다. 기원전 284년 연나라 악의가 이끄는 5국 연합군의 침공으로 수도가 함락되고, 초나라 장수 요치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아들 법장이 제 양왕으로 즉위했으며, 제나라는 이후 쇠퇴하여 진나라의 중국 통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84년 사망 - 아가토클레스 (리시마코스의 아들)
    아가토클레스는 리시마코스 왕국의 후계자였으나 반역죄로 처형당해 왕국 멸망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 살해된 기원전 3세기 군주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이자 셀레우코스 제국의 창건자로,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 건설에 힘썼으며, 코루페디온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암살당했다.
  • 살해된 기원전 3세기 군주 - 진승
    진승은 진나라 말기에 오광과 함께 반란을 일으킨 지도자로서, '왕후장상이 어찌 씨가 있겠는가'라는 말로 유명하며 진나라 멸망의 도화선이 된 최초의 농민 반란을 주도한 인물이다.
  • 기원전 3세기 중국의 군주 - 진 시황제
    진 시황제는 중국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 칭호를 사용한 인물로, 전국 통일 후 군현제 실시, 도량형과 문자 통일 등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구축했으나 분서갱유와 대규모 토목 공사, 불로불사 추구 등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논쟁적인 인물이다.
  • 기원전 3세기 중국의 군주 - 전한 고제
    진나라 말기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워 초한쟁패에서 승리하고 한나라를 건국한 전한 고제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평민 출신 황제로서 민생 안정에 힘썼다.
제 민왕
인물 정보
이름제 민왕 (齊湣王)
한자 표기齊湣王
로마자 표기Qí Mǐn Wáng
왕조전씨
출생기원전 323년경
사망기원전 284년
부친제 선왕
배우자소류녀
배우자민왕태후
통치 정보
직위제나라의 왕
재위 기간기원전 300년 – 기원전 284년
이전 통치자제 선왕
다음 통치자제 양왕

2. 가계

제 민왕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1]

5대조전 태공
4대조전 환공
3대조제 위왕
증조부제 선왕
조부


2. 1.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왕비제 숙류녀(宿瘤女)
왕비민 태후(湣太后)태자 법장(太子法章)의 어머니
아들태자 법장(太子法章)훗날 제 양왕(齊 襄王)
아들공자 관(公子關)호(胡) 계통의 시조


2. 2. 선조

의 선조는 다음과 같다.[1]

5대조전 태공 (기원전 384년 사망)
4대조전 환공 (기원전 400–357년)
3대조제 위왕 (기원전 378–320년)
증조부제 선왕 (기원전 350–301년)
조부 (기원전 323–284년)


3. 생애

기원전 300년, 아버지 제 선왕이 사망하자 제 민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소진은 제나라의 국력을 소모시키려는 의도로 선왕의 장례를 성대하게 치를 것을 건의했다.[18] 소진은 이후 자객에게 암살당했지만, 죽기 직전 민왕에게 자객을 유인할 방법을 알려주었고, 민왕은 소진을 거열형에 처하고 소문을 퍼트려 자객을 잡아 처형했다.[18]

민왕은 적극적으로 팽창 정책을 추진하여 주변국을 공격하고 영토를 넓혔다.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기원전 288년에는 민왕이 동제(東帝)를 칭하고, 진나라의 소양왕이 서제(西帝)를 칭했으나(제진호제),[19] 소대가 송나라를 공격하여 명성을 높이라고 설득하자, 민왕은 동제 칭호를 그만두었다.[19][20]

기원전 286년, 민왕은 위나라, 초나라와 연합하여 송나라를 공격했다. 당시 송나라 왕 송 강왕(宋 康王)은 폭군으로, 백성들은 그를 하나라의 걸왕(桀王)에 빗대 '걸송(桀宋)'이라 불렀다. 민왕은 송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땅을 차지했다.[19] 처음에는 송나라 땅을 3등분하여 나누었으나, 위나라와 초나라 군대가 돌아가는 도중 기습하여 땅을 모두 빼앗았다. 이로써 제나라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지만, 주변국들의 경계심은 더욱 커졌다.

민왕의 팽창 정책은 주변국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연나라 소왕은 부왕이 제나라에 의해 살해당했기 때문에 원한이 깊었다. 소왕은 복수를 위해 각국에서 인재를 모으고 초, 조, 위, 한, 진과 동맹을 맺었다.[22]

기원전 284년, 연나라 악의가 이끄는 5국 연합군(연, 초, 조, 위, 한)이 제나라를 공격했다. 제나라는 제서에서 대패하고 수도 린쯔가 함락되었으며, 그동안 축적해 온 재물과 보물을 연나라에 빼앗겼다.[19][22] 연군은 제나라의 70여 개 성을 함락시켰고, 제나라는 즉묵 두 성만 남게 되었다.[22] 민왕은 거와 즉묵에서 저항했지만, 초나라가 원군으로 보낸 장수 요치에게 살해당했다.[19][22] 요치는 민왕을 3일 동안 대들보에 매달아 굶겨 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후 민왕의 신하 왕손가가 백성들과 함께 요치를 기습하여 죽이고, 민왕의 아들 법장(양왕)을 왕으로 옹립했다.[19][22]

연나라에서도 소왕이 급사하는 등 이변이 일어나, 혜왕이 즉위하였다. 혜왕은 기겁에게 악의와 교대할 것을 명했기 때문에, 악의는 조나라로 망명하였다. 그 틈을 타 전단이 연나라 군세를 격파하고, 연나라에게 빼앗긴 70여 개의 성을 되찾았다.[22] 하지만 제나라는 예전의 번영을 되찾지 못하고, 진나라의 침공을 막을 힘을 잃었다.

3. 1. 즉위 초

기원전 300년, 아버지 제 선왕이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소진은 선왕의 장례를 성대하게 치러야 한다고 건의했는데,[18] 이는 제나라의 국력을 소모시키려는 의도였다.

소진은 이후 자객에게 암살당했지만, 죽기 직전 민왕에게 자객을 유인할 방법을 알려주었다. 민왕은 소진의 유해를 거열형에 처하고 "소진이 연나라를 위해 모반을 꾀했다"라고 소문을 퍼뜨렸다. 그러자 자객이 자수하였고, 민왕은 그를 처형했다.[18]

당시 송나라의 임금은 송 강왕이었다. 그는 포악한 군주로 백성들의 원성을 샀으며, '걸송'이라 불릴 정도였다. 민왕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송나라를 공격할 명분을 얻었다.

3. 2. 팽창 정책과 주변국과의 관계

민왕은 적극적으로 팽창 정책을 추진하여 주변국을 공격하고 영토를 넓혔다. 기원전 317년에 송나라를 공격했고, 기원전 314년에는 연나라의 내란을 틈타 연왕 쾌를 토벌하고 연나라 영토를 얻었다.[19] 기원전 301년에는 진나라와 함께 초나라를 토벌했고, 기원전 299년에는 초나라 장군 당매가 이끄는 군세를 격파했다.[19] 기원전 297년에는 맹상군에게 명하여 한나라, 위나라와 함께 진나라를 격파하고 함곡관에 포진했으며, 그 사이에 조나라와 함께 중산국을 멸망시켰다.[19]

기원전 288년에는 민왕이 동제(東帝)를 칭하고, 진나라의 소양왕이 서제(西帝)를 칭했다(제진호제).[19] 그러나 소대가 민왕에게 제위를 칭하지 말고 송나라를 공격하여 명성을 높이라고 설득하자, 민왕은 동제 칭호를 그만두었다.[19][20]

기원전 286년, 민왕은 위나라, 초나라와 연합하여 송나라를 공격했다. 당시 송나라 왕 송 강왕(宋 康王)은 폭군으로, 백성들은 그를 하나라의 걸왕(桀王)에 빗대 '걸송(桀宋)'이라 불렀다. 민왕은 송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땅을 차지했다.[19] 처음에는 송나라 땅을 3등분하여 나누었으나, 위나라와 초나라 군대가 돌아가는 도중 기습하여 땅을 모두 빼앗았다. 이로써 제나라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지만, 주변국들의 경계심은 더욱 커졌다. 기원전 284년에 맹상군은 위나라로 도망쳤고, 위나라는 맹상군을 재상으로 맞이했다.[21]

3. 3. 몰락과 죽음

민왕의 팽창 정책은 주변국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연나라 소왕은 부왕이 제나라에 의해 살해당했기 때문에 원한이 깊었다. 소왕은 복수를 위해 각국에서 인재를 모으고 초, 조, 위, 한, 진과 동맹을 맺었다.[22]

기원전 284년, 연나라 악의가 이끄는 5국 연합군(연, 초, 조, 위, 한)이 제나라를 공격했다. 제나라는 제서에서 대패하고 수도 린쯔가 함락되었으며, 그동안 축적해 온 재물과 보물을 연나라에 빼앗겼다.[19][22] 연군은 제나라의 70여 개 성을 함락시켰고, 제나라는 즉묵 두 성만 남게 되었다.[22]

민왕은 거와 즉묵에서 저항했지만, 초나라가 원군으로 보낸 장수 요치에게 살해당했다.[19][22] 요치는 민왕을 3일 동안 대들보에 매달아 굶겨 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후 민왕의 신하 왕손가가 백성들과 함께 요치를 기습하여 죽이고, 민왕의 아들 법장(양왕)을 왕으로 옹립했다.[19][22]

3. 4. 사후

연나라에서도 소왕이 급사하는 등 이변이 일어나, 태자 시절부터 악의를 싫어하던 혜왕이 즉위하였다. 혜왕은 기겁에게 악의와 교대할 것을 명했기 때문에, 암살을 두려워한 악의는 조나라로 망명하였다. 그 틈을 타 전단이 연나라 군세를 격파하고, 연나라에게 빼앗긴 70여 개의 성을 되찾았다.[22]

하지만 제나라는 예전의 번영을 되찾지 못하고, 오직 진나라만이 강대한 전력을 보유하게 되어 진나라의 침공을 막을 힘을 잃었다.

참조

[1]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Xunzi: The Complete 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books.google[...] The Research Centre for Translation,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nd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Chan-kuo Ts'e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8] 서적 Exemplary Women of Early China: The ''Lienü Zhuan'' of Liu Xiang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books.google[...] The Research Centre for Translation,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nd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2]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books.google[...] The Research Centre for Translation,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nd Columbia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15] Webarchive The Ji River http://slateandshell[...] 2011-07-16
[16]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Xunzi: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Complete Work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8] Wikisource 史記/卷069#蘇秦
[19] Wikisource 史記/卷046#齊湣王
[20] Wikisource 戰國策黃丕烈札記/齊/四
[21] Wikisource 史記/卷075#孟嘗君
[22] Wikisource 戰國策黃丕烈札記/齊/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